|
 |
|
 |
|
 |
선천적인 기형으로 혀 밑의 설소대가 정상에 비해 짧고 넓으며 혀끝 가까이 붙어 있어 혀의 운동장애를 초래하는 것입니다. 대개 우유를 먹을 때나 식사를 할 때에는 지장이 없으므로 1세 미만에서는 모르고 지내다가 말을 배우기 시작하면서 'ㄹ'발음의 발음장애를 초래하여 알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| |
|
(예) 할아버지, 할머니 등의 발음을 분명하게 하지 못합니다.
혀를 내밀어도 앞이를 넘어오지 못하고, 내밀 때 혀등의 중앙이 아치상으로 굽어지게 됩니다. 또한, 혀의 운동에 의한 설소대의 이상긴장으로 아래 앞이(하악중절치)가 벌어지게 됩니다. |
 |
진 단 |
|
대개 발음 장애로 알게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별한 진단방법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. 눈으로 보는 것이 일차적인 진단이고 발음의 장애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음성검사가 필요한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. |
 |
치료 |
|
치료방법은 수술을 해주어야 하는데 말을 배우기 전에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. 1세이후에 '라'음의 구음장애가 나타나서 선천성 설소대 단축증이 의심되면 즉시 이비인 후과를 찾아 수술을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.
일단 말을 다 배우고 나서 발음이 굳어 진 다음에 수술을 시행하게 되면 굳어진 발음을 교정하기가 어렵게 됩니다. 수술은 설소대를 당겨 옆으로 절단한 다음, 이 창상을 가로로 봉합하는 설소대 절제술을 시행합니다. 수술은 간단하며 시기를 놓치지 않고 수술을 해 주어야 합니다. | |
|
 |
|
 | |
|